순간을 기록으로

[인프라] 물리서버와 가상서버 차이는 무엇일까 본문

Development/Cloud

[인프라] 물리서버와 가상서버 차이는 무엇일까

luminous13 2022. 4. 20. 16:47

개요

배포를 공부하면서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되었고 기본적인 개념이 필요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

 

용어 정리

  • 가상화(virtualization):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한 컴퓨터 안에 있는 하드웨어 자원(cpu, 메모리, 스토리지 등)을  가상머신(VM,가상서버)이라고 불리는 다수의 가상 컴퓨터에게 분할해서 나누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,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추상화 계층을 만드는 것.
    • 실제 기반 컴퓨터 하나만 실행되지만, 각각의 vm에서 운영체제를 실행하여 마치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작하는 것 처럼 만들 수 있다. 
    • 결국 가상화의 목적은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하드웨어 ROI(투자 수익율)을 올릴 수 있습니다.
    • 오늘날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제공자(aws, gcp)는 물리적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사용자(서버를 구축하고 싶은 개발자 등)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.
    • 장점
      • 하드웨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        • 과거에는 컴퓨터 하나에 서버 하나를 구축했다. 그래서 하드웨어 성능이 엄청 좋아도 서버가 그만큼의 성능을 요구하지 않으면 하드웨어 자원이 낭비되었다.
        • 반면, 가상화를 하면 엄청 좋은 단일 컴퓨터 하나를 통해 여러 서버를 만들 수 있고,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.
      • 관리가 편하다
        •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적으로 설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더 쉽다.
  • 서버 가상화: 한 대의 물리적 서버를 가상화하여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만드는 것
    • 가상 서버는 다른 말로 VM(Virtual Macine)이라고도 합니다.
  • 하이퍼바이저(Hypervisor): 가상머신을 생성/삭제를 담당하고, 가상 머신에서 동작할 게스트(Guest) 운영체제를 실행시킵니다.
  • VM 이미지: VM을 배포(생성,Deploy)할 경우 동작하는 이미지. 

 

물리서버와 가상서버

  • 물리 서버(Physical Server): 하드웨어(물리적) 자원을 한 사용자가 단독으로 사용합니다. 주로 서버를 호스팅 할 때 사용합니다.
    • 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한 사람이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이 좋습니다.
    • 한 명인 사용자가 자원을 자유롭게 관리/운영합니다.
    • 사용자가 늘어나더라도 자원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.
  • 웹 호스팅: 하드웨어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나누어서 사용합니다.
    • 하드웨어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합니다.
    • 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의 사용량이 성능에 영향을 줍니다.
  • 가상 서버: 하드웨어 자원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개별 서버에서 각각 사용합니다.
    • 공용 스토리지가 있어 자유롭게 디스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사용자가 직접 권리자 권한을 갖고 자원을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
REFERENCE

https://tech.ktcloud.com/62

 

Cloud 인프라 Intro - 물리서버와 가상서버

물리서버와 가상서버에 대해 Cloud가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 도입 되면서, Cloud 인프라에 대한 용어 역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자주 듣긴 하지만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려웠던, 인프라 관련 용

tech.ktcloud.com

https://www.ibm.com/kr-ko/cloud/learn/virtualization-a-complete-guide

 

Comments